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2:30
  • 점심시간 12:3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

062-972-7575

커뮤니티


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칼럼

제목

만성 위염 환자, 명절에 위장 부담 줄이는 식사법은?... "양 조절 신경 써야" [건강식단]

image

추석이나 설 같은 명절에는 평소보다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을 접할 기회가 많다. 전, 튀김, 갈비찜처럼 풍성하게 차려진 명절 음식은 보기만 해도 입맛을 돋우지만, 만성위염 환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위점막이 약해져 있는 상태에서 과식이나 기름진 음식 섭취가 이어지면 위산과 소화효소 분비가 늘어나 염증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정주 임상영양사(용인세브란스병원)와 만성위염 환자의 명절 음식 섭취 주의점과 위장에 부담을 덜 주는 식사 팁까지 함께 알아본다.

명절 고단백·고지방 음식, 위산 분비 자극해 염증 악화
위염은 위점막에 염증이 생긴 질환으로, 오랜 기간 지속되면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명절 음식은 단백질과 지방이 많아 소화가 더디고 위에 오래 머물러 위산 분비를 촉진한다. 여기에 맵고 짠 양념까지 더해지면 위벽 손상·염증이 악화될 수 있다.

기름에 튀긴 각종 전, 갈비찜만 조심하면 될 것 같지만, 의외의 복병도 있다. 약과·타래과 같은 전통 간식과 기름에 볶은 잡채 역시 소화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또 오랜만에 가족들과 어울리며 음식을 먹다 보면 나도 모르게 과식으로 이어지기 쉽다.

자극적이지 않은 음식 선택하고, 조리·식사법으로 위장 부담 줄여야
그렇다면 무조건 명절 음식을 피해야 할까? 이에 이영주 영양사는 "평소와 비슷한 양을 먹거나, 조금씩 먹는다면 크게 문제가 되진 않는다"고 설명한다.

조리법을 바꾸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전은 키친타월로 기름을 흡수하고, 두부 부침은 기름에 굽기보단, 데쳐서 먹는 것이 좋다. 고기는 가볍게 삶아 기름과 불순물을 미리 제거하고, 저온에서 오랜 시간 조리하면 지방이 빠져 소화에 도움이 된다. 섬유소가 많은 도라지·고사리 같은 나물은 푹 삶아 부드럽게 조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명절 음식이 위염 환자에게 해로운 것은 아니다. 나물, 생선찜, 나박김치, 부드러운 과일, 살코기 찜이나 불고기전골, 닭백숙 등은 상대적으로 위장에 부담이 덜하다. 단, 고깃국물은 팔팔 끓여 적당히 식힌 뒤, 위에 뜬 기름은 걷어내고 살코기는 잘게 잘라 꼭꼭 씹어 먹어 원활한 소화를 돕는다. 이정주 임상영양사는 "아무리 가벼운 음식도 과하게 먹는 것은 위장을 자극할 수 있어 평소 위장 장애가 있다면 양 조절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제품 섭취, 소화에 도움… 속 불편할 땐, 찬물보다 따뜻한 물
이정주 임상 영양사는 수면·활동 패턴을 평소와 비슷하게 유지하는 것도 위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조언하며, "우유나 요거트 등 소화에 도움을 주는 유산균 식품을 하루 1~2회 보충하는 것도 소화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과식이나 자극적인 음식 섭취 후 속이 불편하다면, 따뜻한 물을 조금 마시는 것이 위 자극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 찬물은 오히려 자극될 수 있고, 지나치게 많이 마실 경우, 오히려 소화를 방해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당뇨병, 비만, 고혈압, 골다공증 등 만성질환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질환은 약물치료뿐 아니라 일상 속 식단 관리가 곧 치료이자 예방법이 될 수 있어 '무엇을 먹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환자가 스스로 식단을 구성하기는 쉽지 않고, 인터넷 정보는 과다해 혼란을 주기도 한다. 이에 하이닥 <건강식단>은 임상영양사와 함께 질환별 식단 원칙, 올바른 식재료 선택법, 피해야 할 실생활 습관 등을 통해 건강한 식생활 실천법을 제시하고자 한다.